Middleware/Kafka&RabbitMQ 2019. 3. 13. 10:38

Kafka - Kafka(카프카) cluster(클러스터) 구성 및 간단한 CLI사용법





▶︎▶︎▶︎카프카란?


이전 포스팅에서는 메시징 시스템은 무엇이고, 카프카는 무엇이며 그리고 카프카의 특징과 다른 메시지 서버와의 차이점에 대한

포스티이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간단하게 카프카3대를 클러스터링 구성을 하여 서버를 띄우고 CLI를 이용하여 간단히

카프카를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카프카는 중앙에서 많은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를 받아서 다른 시스템으로 받아주는 역할을 하는

메시지 시스템으로 MSA에서는 없어선 안되는 존재가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중요한 카프카를 한대만 띄워서 프로덕트 환경에서

운영한다는 것은 과연 안전한 생각일까요? 아닙니다. 여러대를 클러스터링 구성하여 고가용성을 높혀야 운영환경에서도 안전하고 신뢰성있는

메시지 시스템 구성이 될것입니다. 






위의 그림은 카프카를 여러대 클러스터링을 했을 경우의 구성도 입니다. 일단 중요한 것은 Zookeeper라는 존재입니다. 주키퍼는

이전 포스팅에서 Zookeeper란 무엇인가? 그리고 Solr 클러스터링 구성을 했을 때 다뤘던 내용이므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생략합니다.




▶︎▶︎▶︎Zookeeper란?

▶︎▶︎▶︎Solr Cluster 구성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주키퍼란 분산환경 애플리케이션을 중앙에서 관리해주는 디렉토리 구조의 분산 코디네이터라고 보시면 됩니다. 지금부터는

실습에 초점을 마추겠습니다.



우선은 주키퍼를 설치해줍니다. 이번 실습의 버전은 3.4.12 버전기준입니다.

설정파일을 만지기 전에 주키퍼를 위한 디렉토리 구성을 진행하겠습니다. 저는 카프카 실습을 위해 별도의 하나의 디렉토리를 구성하였고,

그안에 주키퍼와 카프카에 대한 파일들을 모두 넣어놓았습니다. 우선 다음 예제는 주키퍼와 카프카를 별도의 디렉토리에 설치했다는 가정하에 진행합니다.

주키퍼는 링크를 참조하셔서 총 3대로 띄워주시면 됩니다.(Master-slave 관계의 클러스터)


카프카도 동일한 디렉토리에 설치해줍니다. 편의상 카프카의 디렉토리 루트를 $KAFKA로 지칭합니다.


우선 진행하기 앞서 클러스터 구성에서 인스턴스 각각이 자신의 메타 데이터와 카프카가 데이터를 쓸 디렉토리를 만들어줍니다.

kdata1,kdata2,kdata3 디렉토리를 만들어줍니다. 그리고 $KAFKA/config 밑에 있는 server.properties를 2장 복사해줍니다.

그리고 해당 파일 안에 설정들을 클러스터 구성에 가장 기본이 되는 설정으로 바꿔줍니다.


broker.id = 1,broker.id = 2,broker.id = 3 으로 총 3개의 serverN.properties에 작성해줍니다. 이것은

주키퍼 myid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클러스터 인스턴스 구분용 ID값입니다.

그리고 지금 실습은 로컬에 3대의 카프카서버를 띄워서 클러스터링 구성을 할것임으로 각각 서버의 포트를 달리 지정해줍니다.


listeners=PLAINTEXT://:9092,listeners=PLAINTEXT://:9093,listeners=PLAINTEXT://:9094 으로 각각 파일에 포트를 구분해줍니다.


log.dirs=$KAFAKA/kdata1,log.dirs=$KAFAKA/kdata2,log.dirs=$KAFAKA/kdata3 으로 각각 카프카 서버가 자신의

메타 데이터를 쓸 디렉토리를 구분지어줍니다. 필자는 처음에 하나의 디렉토리만 생성해서 공유했더니 충돌 문제가 있어

각각 별도의 디렉토리 구성을 가져갔습니다.



마지막으로 주키퍼와의 연동 설정입니다.

zookeeper.connect=localhost:2181,localhost:2182,localhost:2183/kafka-broker 으로 각 설정 파일에 동일하게 작성해줍니다.

여기에서 조금 특이한것이 ~/kafka-broker 입니다. 이것은 무엇이냐면 만약 각각 다른 용도의 카프카 클러스터를 2세트 운영한다고 가정하고,

주키퍼는 같은 주키퍼 클러스터를 이용한다고 합니다. 만약 ~/kafka-broker를 입력하지 않으면 카프카 클러스터 2세트가 주키퍼의 루트 디렉토리에 동일한

구조의 데이터를 쓰게 되고 그러면 카프카 클러스터 2세트가 데이터 충돌이 나게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kafka-broker라고 입력하여 주키퍼의 루트디렉토리가

아닌 /kafka-broker/.. 라는 디렉토리를 하나 새로 생성하여 아예 카프카 클러스터 1대의 전용 디렉토리를 구성해주는 겁니다. 여기까지 진짜 기본적인

설정으로 클러스터 설정을 마쳤습니다. 사실은 이정도 설정으로는 운영환경에서는 운영하기 힘들것입니다. 나머지 설정관련해서는 카프카 공식 홈페이지에

영어로 친절하게? 작성되어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이제 $KAFKA/bin/kafka-server-start.sh -daemon ../config/server.properties 명령으로 3개의 카프카를 실행시켜줍니다. 물론 선행조건은

주키퍼가 실행되었다는 조건입니다. 만약 지금까지 잘 따라오셨다면 문제없이 실행됩니다. 마지막으로 간단한 CLI를 이용한 producer,consumer 예제입니다.



위의 명령으로 큐의 역할로 사용될 토픽을 생성해줍니다. 만약 토픽을 잘못 생성하신 분들을 위해서 토픽을 삭제하는 명령입니다.



Noting 메시지와 함께 토픽이 삭제되었습니다. 



프로듀서를 실행시켜줍니다. 설정 인자들은 설명없어도 직관적으로 보입니다.



메시지를 보냅니다.



또 한번 보냅니다.



컨슈머 쪽을 확인해보면 메시지가 잘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카프카 클러스터 구성과 간단한 CLI를 이용하여 카프카를 사용해보았습니다.

posted by 여성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