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 - Kubernetes 용어설명

2019. 11. 26. 23:24인프라/Docker&Kubernetes

 

지금까지 쿠버네티스에 대한 포스팅을 여러개 했는데, 더 진행하기 앞서 쿠버네티스에서 사용하는 용어 및 개념들을 정리하면 좋을듯 해서 포스팅한다.

 

마스터&노드

쿠버네티스의 클러스터의 구조에서 전체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마스터 노드가 있고, 도커 컨테이너가 배포되는 노드가 존재한다.

 

 

Pod

Pod는 쿠버네티스에서 가장 기본적인 배포 단위로, 하나 이상의 도커 컨테이너의 묶음이다.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 단위로 배포하는 것이 아니라, Pod이라는 하나 이상의 도커 컨테이너로 이루어진 단위로 배포가 된다. 

 

그렇다면 개별적인 컨테이너로 배포하지 않고, Pod이라는 단위로 배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Pod 내의 컨테이너는 IP와 Port를 공유한다. 즉, 서로 localhost로 통신이 가능한 것이다.
  • Pod 내에 배포된 컨테이너 간에는 디스크 볼륨 공유가 가능하다. 

위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통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포함한 Pod 단위로 배포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예제로는 어떤 것이 있을 까? 요즘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때는 애플리케이션 하나만 배포하는 것이 아니라, Nginx와 로그 수집기, 예거 등을 같이 배포하는 경우가 많은 데, 보통 이런 조합은 디스크를 공유해야 하거나 서로 HTTP 통신을 해야한다. 하지만 이럴때 서로 다른 컨테이너로 배포할 경우 굉장히 구성이 까다로워질 것이다. 즉, 하나의 Pod 내에 여러 컨테이너로 띄울 경우 위 문제가 어느정도 해결된다.

 

이렇게 애플리케이션과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주변 프로그램을 같이 배포하는 패턴을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에서 사이드카패턴이라고 한다.

 

Volume

Pod가 뜰때, 컨테이너마다 로컬 디스크를 생성해서 기동되는데, 이 로컬 디스크의 경우 영구적이지 못하다. 즉, 컨테이너가 리스타트 되거나 새로 배포될때 로컬 디스크의 내용이 유실된다. 그런데 보통 데이터베이스와 같이 영구적으로 파일을 저장해야 하는 경우에는 컨테이너의 리스타트와 상관없이 파일을 영구적으로 저장해야 하는데, 이럴때 볼륨을 마운트해서 사용한다. 즉, Pod에 볼륨을 할당한다는 뜻이다. 이러한 볼륨은 하나의 Pod 내에서 여러 컨테이너가 공유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Service

보통의 경우 하나의 Pod으로만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보통은 여러개의 동일한 Pod을 띄워 로드밸런싱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럴 경우에 Pod은 동적으로 생성되고 삭제되고, 생성되는 IP는 그때그때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Pod의 디스커버리를 IP로 묶는 것을 쉽지 않다. 그래서 사용되는 것이 Service이고 이는 내부적으로 라벨과 라벨 셀렉터를 이용하여 가용 가능한 Pod을 디스커버리한다.

 

서비스를 정의할때, 어떤 Pod을 하나의 서비스라는 개념으로 묶을 것인지 정의하는데, 이를 라벨 셀렉터라고 한다. 각 Pod의 Object를 정의할 때, 메타정보에 라벨정보를 넣을 수 있는데, 이 라벨을 Service Object를 정의할때 라벨셀렉터에 넣어준다. 이러면 동일한 라벨을 같은 여러개의 같은 Pod이 동일한 Service 단위로 묶이게 되는 것이다.

 

 

Namespace

네임스페이스는 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의 논리적인 분리단위이다. Object들을 네임스페이스 단위로 별도 생성 및 관리가 가능하고, 사용자의 권한 역시 이 네임스페이스 단위로 부여할 수 있다. 보통 개발/운영/테스트 환경을 간혹 네임스페이스 단위로 나누기도 하는데, 왠만하면 클러스터 자체를 분리하는 것이 좋다. 네임스페이스로 나눈다고 해서 물리적인 환경을 분리하는 것이 아니고 단순 논리적인 분리밖에 되지 않아 머신의 리소스를 같이 사용하기 때문이다.

 

Label

라벨은 쿠버네티스의 리소스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각 리소스는 라벨을 가질 수 있고, 라벨 검색 조건에 따라 특정 라벨을 가진 리소스만 선택이 가능하다. 라벨은 metadata 부분에 키/값으로 정의 가능하며 하나의 리소스에는 하나 이상의 라벨을 가질 수 있다.

 

"metadata": {
	"labels": {
    	"key1": "value1",
        "key2": "value2"
    }
}

 

라벨 셀렉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2가지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는 Equality based selector와, Set based selector가 있다.

 

Equality based selector는 단순히 같고,다르다는 조건을 이용하여 라벨을 셀렉하는 방법이다.

  • env = dev
  • env != product

Set based selector는 집합 개념을 이용한다.

  • env in (dev,qa)
  • env notin (product,stage)

 

Controller

컨트롤러는 기본 오브젝트(Pod,Service,Volume,Namespace)들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컨트롤러는 Replicaion Controller, Replication Set, DaemonSet, Job, StatefulSet, Deployment 들이 있다.

 

1) Replication Controller

Replication Controller는 Pod을 관리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지정된 숫자로 Pod을 기동시키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Replication Controller는 크게 3가지 파트로 구성되는데, Replica의 수, Pod Selector, Pod Template(Spec)으로 구성된다.

 

 

이미 기동된 Pod이 있다면 주의해야할 점이 있다. Pod이 이미 떠있는 상태에서 RC 리소스를 생성하고 그 Pod의 라벨이 RC와 라벨 셀렉터와 일치하면 Pod들은 새롭게 생성된 RC의 컨트롤을 받는다. 만약 해당 Pod들이 RC에서 정의한 replica 수보다 많으면, replica 수에 맞게 Pod들을 삭제하고, 모자르면 template(Spec)에 정의된 되로 Pod을 띄우게 된다. 하지만 여기서 주의할 점이 template(Spec)에 정의된 Pod 리소스 설정과 라벨셀렉터에 의해 픽된 Pod의 리소스 설정이 다르더라도 기존 Pod을 내렸다가 올리지 않는 다는 점이다. 이말은 즉, 싱크가 맞지 않는 형상이 다른 Pod이 뜰 가능성이 있다.

 

2) ReplicaSet

ReplicaSet은 RC의 새버전이라 생각하면 된다. RC는 Equality 기반 셀럭터를 사용하는데, ReplicaSet은 Set 기반 셀렉터를 이용한다.

 

3) Deployment

Deployment는 RC와 RS의 좀더 상위 개념이다. 셀제 운영에서는 RC,RS 보다 Deployment를 이용한다. Deployment를 설명하기 전에 배포 방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설명한다.

 

 

위와 같은 RC와 Pod들이 있다고 생각하고 새로운 버전의 Pod을 띄우는 상황이라 가정하자. 보통이런 상황에서 Blue/Green 배포와 Rolling Update 배포 방식을 이용한다.

 

Blue/Green deployment

블루그린 배포 방식은 블루(예전) 버전으로 서비스 하고 있던 시스템은 그린(새로운)버전을 배포한 후, 트래픽을 블루에서 그린으로 한번에 돌리는 방식이다.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가장 쉬운 방법은 새로운 RC와 Pod들을 모두 띄운 후에 Service의 트래픽을 한번에 새로운 Pod으로 돌리는 방법이다.

 

배포후 문제가 없다면 이전 RC와 Pod들을 내려준다.

 

Rolling update deployment

롤링 업데이트 배포 방식은 Pod을 하나씩 업그레이드 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배포를 하려면 먼저 새로운 RC를 만든 후에, 기존 RC에서 replica 수를 하나 줄이고, 새로운 RC에는 replica 수를 하나 늘려준다. 이런식으로 하나 줄이고 하나늘리고 하는 방식으로 배포를 하게된다.

 

 

만약 배포가 잘못되었다면 기존 RC의 replica를 원래대로 올리고, 새버전의 replica 수를 0으로 만들어 롤백한다. 이런 롤링 업데이트 배포 방식을 RC 단위로도 가능하지만 여러가지 작업이 필요하다. 그래서 이러한 여러 과정을 추상화한 개념을 Deployment라고 보면 된다.

 

4) DaemonSet

DaemonSet은 Pod가 각각의 노드에서 하나씩만 돌게하는 형태로 Pod을 관리하는 컨트롤러이다. RC, RS 혹은 Deployment로 관리되는 Pod들은 클러스터 노드의 리소스 상황에 따라 비균등적으로 배포되는데, DS에 의해 관리되는 Pod는 모든 노드에 균등하게 하나씩만 배포된다. 보통 서버 모니터링 혹은 로그 수집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DS의 다른 특징중 하나는 특정 Node들에만 Pod들을 하나씩 배포되도록 설정이 가능 하다. 이렇게 특정 노드를 셀렉하기 위해 node selector를 제공하여 특정 노드를 선택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여기까지 간단히 쿠버네티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다루어봤다. 사실 다루지 못한 용어들이 많이 있지만 추후에 더 다루어볼 예정이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쿠버네티스 아키텍쳐에 대해 다루어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