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7(14)
-
Java - Garbage Collection(GC,가비지 컬렉션) 란?
Java - JVM이란? JVM 메모리 구조 초심으로 돌아갈 때가 된 것 같다.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JVM(Java Virtual Machine)이다. 사실 지금까지는 스킬 베이스의 공부만 해왔었다. 하지만 점점 개발을 하다보니 성능이라는 것에 굉장히 큰 관심이 생겼.. coding-start.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는 초심으로 돌아가 JVM에 대해 포스팅을 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JVM의 Heap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Garbage Collection에 다루어 보려고 합니다. 본 포스팅에서 Hotspot JVM의 GC를 다룰 것입니다. Garbage Collection은 무엇일까? GC란 이미 할당된 메모리에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를 해제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사용되지 않는 메..
2019.07.29 -
Java - JVM이란? JVM 메모리 구조
초심으로 돌아갈 때가 된 것 같다.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JVM(Java Virtual Machine)이다. 사실 지금까지는 스킬 베이스의 공부만 해왔었다. 하지만 점점 개발을 하다보니 성능이라는 것에 굉장히 큰 관심이 생겼다. Java의 성능에 핵심인 JVM 튜닝을 다루어 보기 전에 우선 JVM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JVM이란? JVM(Java Virtual Machine)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우선 원어를 먼저 알아보자. 처음의 "Java"는 프로그램 언어인 Java를 의미한다. 그리고 Virtual Machine은 물리적인 형태가 아닌 소프트웨어로서의 개념을 의미한다. 즉, 소프트웨어적으로 Java 언어를 실행시키기 위한 Machine을 말하는 것이다. 결국 JVM은 정의된 스펙(벤더사마다 다른..
2019.07.29 -
디자인패턴 - 템플릿메소드 패턴(Templatemethod)
템플릿 메소드 패턴(template method pattern)은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동작 상의 알고리즘의 프로그램 뼈대를 정의하는 행위 디자인 패턴이다. 알고리즘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알고리즘의 특정 단계들을 다시 정의할 수 있게 해준다. 템플릿(template)은 하나의 '틀'을 의미한다. 하나의 틀에서 만들어진 것들은 형태가 다 같다. 이런 틀 기능을 구현할 때는 template method 패턴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상속의 개념이 있는 상위 클래스와 하위 클래스의 구조에서 표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위 클래스(추상 클래스)에는 추상 메서드를 통해 기능의 골격을 제공하고, 하위 클래스(구체 클래스)의 메서드에서는 세부 처리를 구체화한다. 이처럼 상위 클래스에서는 추상적으로 표현하고 그 구체..
2019.07.29 -
디자인패턴 - 싱글톤 패턴(Singleton)
싱글톤(singleton)은 '단독 개체', '독신자'라는 뜻 말고도 '정확히 하나의 요소만 갖는 집합' 등의 의미가 있다. singleton 패턴은 객체의 생성과 관련된 패턴으로서 특정 클래스의 객체가 오직 한 개만 존재하도록 보장한다. 즉 클래스의 객체를 하나로 제한한다. 프로그램에서 이런 개념이 필요할 때는 언제일까? 프린터 드라이버의 예를 들어보자. 여러 컴퓨터에서 프린터 한 대를 공유하는 경우, 한 대의 컴퓨터에서 프린트하고 있을 때 다른 컴퓨터가 프린트 명령을 내려도 현재 프린트하는 작업을 마치고 그다음 프린트를 해야지 두 작업이 섞여 나오면 문제가 될 것이다. 즉 여러 클라이언트(컴퓨터)가 동일 객체(공유 프린터)를 사용하지만 한 개의 객체(프린트 명령을 받은 출력물)가 유일하도록 상위 객체..
2019.07.29 -
운영체제 - 상호배제와 동기화(뮤텍스,TAS,세마포어,모니터)
2019/07/28 - [운영체제] - 운영체제 - 병행 프로세스란? 운영체제 - 병행 프로세스란? 2019/07/27 - [운영체제] - 운영체제 - 프로세스(Process)란? 프로세스상태,Context Switching 운영체제 - 프로세스(Process)란? 프로세스상태,Context Switching 프로세스의 개념 프로세스는 다양한 정의가 있다... coding-start.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 병행 프로세스에 대해 간단히 개념을 다루어보았는데, 병행 프로세스에서 꼭 해결해야할 것 중 하나가 공유 자원에 대한 상호배제(동기화)였다. 오늘은 이런 상호배제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볼 것이다. 상호배제의 개념 상호배제는 병행 프로세스에서 프로세스 하나가 공유 자원을 사용할 때 다른 프로세..
2019.07.28 -
운영체제 - 병행 프로세스란?
2019/07/27 - [운영체제] - 운영체제 - 프로세스(Process)란? 프로세스상태,Context Switching 운영체제 - 프로세스(Process)란? 프로세스상태,Context Switching 프로세스의 개념 프로세스는 다양한 정의가 있다. 실행 중인 프로그램 비동기적 행위 실행 중인 프로시저 실행 중인 프로시저의 제어 추적 운영체제에 들어 있는 프로세스 제어 블록(PCB) 프로세서에 할당하여 실.. coding-start.tistory.com 2019/07/27 - [운영체제] - 운영체제 - 쓰레드란?(Thread,사용자 수준 쓰레드, 커널 수준 쓰레드, 혼합형 쓰레드) 운영체제 - 쓰레드란?(Thread,사용자 수준 쓰레드, 커널 수준 쓰레드, 혼합형 쓰레드) 2019/07/27 ..
2019.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