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C(2)
-
Springboot - Bean Scope(싱글톤, 프로토타입) ?
스프링에서 빈을 생성할 때, 기본 전략은 모든 빈이 싱글톤으로 생성된다. 즉, 어디에서든지 빈을 주입받는 다면 동일한 빈을 주입받는 것을 보장한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빈 주입마다 새로운 빈을 생성해야할 필요가 있을 경우도 있다. 이럴 경우에는 빈 생성시 Scope를 prototype으로 주면 빈 주입마다 새로운 인스턴스가 생성되는 것을 보장한다. 하지만 프로토타입 빈을 사용할 경우 주의해야 할 상황이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Component public class ABean { @Autowired private BBean b; public void bMethod() { b.print(); } } @Component @Scop..
2019.08.17 -
Spring - Field vs Constructor vs Setter Injection 그리고 순환참조(Circular Reference)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필드,생성자,세터 의존주입에 대한 내용이다.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의존주입은 무엇인가? 혹은 우리가 평소에 사용하는 의존주입의 방식은 무엇인가? 한번 생각해보고 각각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Component public class ABean { @Autowired private BBean b; public void bMethod() { b.print(); } } cs 보통 위와 같이 필드에 의존주입할 빈을 선언하고 @Autowired를 붙여 빈 주입을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Component public class ABean { private BBean b; public ABean(BBean..
2019.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