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ols(13)
-
Git - Mac OS, Git pull 명령 후 non-fast-forward 문제 해결방법
현상 github에서 저장소 생성 후 저장소 주소를 remote에 입력(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했고, 로컬에서도 정상적으로 초기화(git init)했는데도 git pull 또는 git merge 명령이 동작하지 않고 git push origin master시 [rejected] master -> master (non-fast-forward)이런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원인 깃허브에 생성된 원격 저장소와 로컬에 생성된 저장소 간 공통분모가 없는 상태에서 병합하려는 시도로 인해 발생. 기본적으로 관련 없는 두 저장소를 병합하는 것은 안되도록 설정되어 있음. 해결방법 아래와 같이 git pull 시에 –allow-unrelated-histories 옵션 추가하여 ..
2019.09.24 -
Git - Mac OS, Github remote:Permission to 에러
remote: Permission to 403 remote: Permission to ~ denied to id(xxx). fatal: unable to access 'https://github.com/~':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 403 a라는 github 아이디로 '최초' 글로벌 유저를 등록 후 b라는 github 아이디로 글로벌유저를 등록 후 git push를 하게 되면 기존에 최초 등록한 a아이디를 바라보고 있기에 에러를 발생시키는 것이었습니다. spolight 검색을 통해 keychain Access.app 또는 키체인 접근을 실행합니다. 오른쪽 상단에 검색창에 github.com 을 검색합니다. 리스트에 보이는 github.com 더블클릭 후 계정과 암호를..
2019.09.24 -
IntelliJ - 대/소문자 구분없이 자동완성(Code Completion)
최근까지 사용하던 이클립스를 제껴두고 인텔리제이를 써보려하는데, 익숙치 않아서 불편한 점이 한둘이 아닙니다. 천천히 하나하나 정리해볼 겸 오늘은 대/소문자 구분없이 자동완성하는 설정을 다루어보려합니다. Preferences 메뉴 탭을 눌러줍니다. Editor->General->Code Completion tab으로 들어간 이후에 가장 맨위 Match case 부분의 체크를 풀어줍니다. 짠 소문자로 시작해도 자동완성이 완료됩니다. 아직 가야할 길이 멀은 인텔리제이.. 언제쯤 이클립스처럼 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까
2019.09.13 -
GitHub - github를 maven repository로 사용하기(깃허브를 메이븐 레포지토리로 사용하기)
GitHub - github를 maven repository로 사용하기(깃허브를 메이븐 레포지토리로 사용하기) 이번 포스팅은 GitHub를 maven repository로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혹시 Git에 대한 기본 지식이 조금 부족하시다고 생각이 드시면 아래 링크에서 한번 읽고 오시면 좋을 것같습니다. ▶︎▶︎▶︎GitHub - 간단한 Git사용법(로컬 레포지토리,원격 레포지토리) ▶︎▶︎▶︎GitHub - Git 사용법 2 (branch, checkout, reset 등) ▶︎▶︎▶︎Github - eclipse(이클립스)와 local repository(로컬레포지토리) 연동 기본적인 플로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Project ------------------->Local Repository-----..
2019.02.22 -
Github - eclipse(이클립스)와 local repository(로컬레포지토리) 연동.
Github - eclipse(이클립스)와 local repository(로컬레포지토리) 연동 이번 포스팅은 간단하게 이클립스와 로컬 레포지토리 연동입니다. 간단하게 flow를 설명하면, Remote Repository(Github) Local Repository Eclipse(이클립스) 입니다. 혹시나 git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으시다면 이전 포스팅 글을 한번 읽고 와주세요!. ▶︎▶︎▶︎GitHub - 간단한 Git사용법▶︎▶︎▶︎GitHub - Git 사용법 2 첫번째 작업은 원격 레포지토리 생성과 로컬 레포지토리 생성 및 연결입니다. 해당 설명은위의 포스팅에서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이클립스 & Git(로컬 레포지토리) 연동 로컬 레포지토리와 연동할 프로젝트를 우클릭한 후 Team > Share ..
2019.02.16 -
GitHub - Git 사용법 2 (명령어,branch, checkout, reset 등)
GitHub - Git 사용법 2 (branch, checkout, reset 등) 이전 포스팅에서는 간단한 Git 사용법에 대하여 다루어봤습니다. 이번에는 조금 더 나아가서 branch, tag, 잘못 반영된 작업을 되돌리는 작업 등 조금 더 진화된 예제를 다루어보려고합니다. 혹시 이전 포스팅을 보시지 못하셨다면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시고 오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 혹시라도 대부분의 기본 명령어들이 숙지 되어있으시다면 굳이 보시지 않으셔도 됩니다. ▶︎▶︎▶︎GitHub - 간단한 Git사용법(로컬 레포지토리,원격 레포지토리) 로컬 저장소는 git이 관리하는 세그루의 나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첫번째 나무인 작업 디렉토리(Working Directory)는 이전 포스팅에서 생성한 git 위한 로컬디렉토리입..
2019.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