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63)
-
Elasticsearch - 퍼포먼스 튜닝하는 방법 by ebay
[번역] Elasticsearch 퍼포먼스 튜닝 방법 - ebay Elasticsearch에 대해 검색하다가 ebay에 퍼포먼스 튜닝방법에 대해 좋은 글이 있어서 간단하게 정리해봤다. 새롭게 알게된 사실이 많아서 좋았다. 정리 잘된 기술 블로그를 보는것은 책을 읽는거보� wedul.site
2020.08.19 -
Gradle - Could not initialize class org.codehaus.groovy.runtime.InvokerHelper(Spring, gradle project)
그래들 프로젝트를 사용중인데, 간혹 idea에서 "Could not initialize class org.codehaus.groovy.runtime.InvokerHelper"라는 에러 메시지가 뜨는 경우가 있다. 여러가지 요인이 있을 수 있지만, 필자가 저 에러를 보았던 순간은 jdk 1.8에서 jdk14 버전으로 올리면서 났던 에러 메시지 인데, 이유는 gradle version이 jdk14를 지원하지 못하는 낮은 버전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프로젝트 디렉토리중 "gradle/wrapper/gradle-wrapper.properties"에서 gradle 버전을 올려주어서 해결하였다.(5.x -> 6,3)
2020.08.17 -
MongoDB - 백업하고 복구하기(mongodump&mongorestore)
이번에 다루어볼 내용은 몽고디비에서 데이터를 백업하고 복구하는 방법이다. 백업하기(덤프, dump) 몽고디비가 설치되어 있다면, mongodump라는 명령어로 몽고디비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다. > mongodump --host 127.0.0.1 --port 27017 위 명령으로 데이터를 백업한다면, 현재 디렉토리에 /dump 디렉토리가 생기고 이 디렉토리 밑에 데이터가 복구되어 있다.(DB 별로 폴더가 생겨있고, 그 폴더안에 BSON으로 데이터가 백업되어 있다.) > mongodump --out ~/mongo_backup --host 127.0.0.1 --port 27017 --out 옵션으로 데이터 백업의 디렉토리 위치를 정해줄 수 있다. > mongodump --out --host 127.0.0...
2020.08.16 -
Kubernetes - 볼륨(Volume),퍼시스턴트 볼륨&볼륨 클레임(persistent volume&claim)
오늘은 쿠버네티스의 볼륨에 대해 다루어 볼 것이다. 간단하게 몇가지 볼륨 플러그인에 대해 예제를 다루어보고, 퍼시스턴트 볼륨&볼륨 클레임에 대해 다루어본다. yoonyeoseong/kubernetes-sample Contribute to yoonyeoseong/kubernetes-sampl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emptyDir 해당 플러그인은 pod가 실행되는 호스트의 디스크를 임시로 컨테이너에 볼륨으로 할당해서 사용하는 방법이다. pod가 사라지면 emptyDir에 마운트해서 사용하는 데이터도 모두 사라진다. 하지만, pod이 종료되지 않고 단순히 container만 재시작된 것이라면 데이터는 유지된다. 주로 대용량 데이..
2020.08.15 -
Kubernetes - ingress nginx 설치 및 사용법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어볼 내용은 간단하게 쿠버네티스 ingress-nginx를 설치하고, 외부 트래픽을 내부 팟에게 전달해주는 예제이다. 바로 예제로 들어간다. > git clone https://github.com/kubernetes/ingress-nginx.git > cd ./ingress-nginx/deploy/static/provider/baremetal > kubectl apply -f . > kubectl get deploy -n ingress-nginx NAME READY UP-TO-DATE AVAILABLE AGE ingress-nginx-controller 1/1 1 1 60s 여기까지 따라왔다면 설치는 완료되었고, ingress-nginx를 위한 서비스 등이 떴을 것이다. kubectl..
2020.08.02 -
Git - 체리픽(Cherry-pick), 다른 브랜치 혹은 다른 레포지토리의 커밋 가져오기
오늘 다루어볼 내용은 git의 cherry-pick(체리픽)이다. 보통 체리픽을 사용하는 이유는 다른 브랜치의 커밋의 일부만 가져올때 많이 사용한다. 간단하게 예제를 다루어보자. > gb * [1] feature/add-function [2] feature/update-function 위처럼 두개의 브랜치가 존재하고 각 브랜치의 커밋로그는 아래와 같다. > feature/add-function * 13e321a - (HEAD -> feature/add-function) add c.txt (9 minutes ago) * f894b25 - add b.txt (9 minutes ago) * 35402a1 - add a.txt (9 minutes ago) > feature/update-function * cb6..
2020.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