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13)
-
Docker - 도커를 이용해 Single node Kafka 띄우기
이번 포스팅은 간단하게 싱글 노드 카프카를 도커로 띄우는 방법이다. git clone https://github.com/wurstmeister/kafka-docker cd kafka-docker 설정 파일은 docker-compoese로 되어있으며, 아래와 같다. version: '2' services: zookeeper: image: wurstmeister/zookeeper ports: - "2181:2181" kafka: build: . ports: - "9092:9092" environment: KAFKA_ADVERTISED_HOST_NAME: 127.0.0.1 KAFKA_CREATE_TOPICS: "test:1:1" KAFKA_ZOOKEEPER_CONNECT: zookeeper:2181 volum..
2020.06.04 -
Kubernetes - Kubernetes 로깅 운영(logging), Fluentd
오늘 다루어볼 내용은 쿠버네티스 환경에서의 로깅운영 방법이다. 지금까지는 쿠버네티스에 어떻게 팟을 띄우는지에 대해 집중했다면 오늘 포스팅 내용은 운영단계의 내용이 될 것 같다. 사실 어떻게 보면 가장 중요한 내용중에 하나라고 볼 수 있는 것이 로깅이다. 물리머신에 웹을 띄울 때는 파일로 로그를 날짜별로 남기고, 누적 일수이상된 파일은 제거 혹은 다른 곳으로 파일을 옮기는 등의 작업을 했을 것이다. 하지만 쿠버네티스에서는 파일로 로그를 남기지 않으며 조금 다른 방법으로 로깅운영을 진행한다. 컨테이너 환경에서 로그를 운영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컨테이너 환경에서 로그가 어떻게 생성되는지 알아본다. 비컨테이너 환경의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보통 로그를 파일로 많이 남기고 한다. 이에 비해 도커에서는 로그..
2020.02.24 -
Kubernetes - Kubernetes 아키텍쳐
이전 포스팅에서 쿠버네티스에 대한 용어와 개념을 다루어봤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제 쿠버네티스가 어떤 구조로 되어 있는지 아키텍쳐에 대해 다루어본다. 2019/11/26 - [인프라/Docker&Kubernetes] - Kubernetes - Kubernetes 용어설명 Kubernetes - Kubernetes 용어설명 지금까지 쿠버네티스에 대한 포스팅을 여러개 했는데, 더 진행하기 앞서 쿠버네티스에서 사용하는 용어 및 개념들을 정리하면 좋을듯 해서 포스팅한다. 마스터&노드 쿠버네티스의 클러스터의 구조에서 전체 클러.. coding-start.tistory.com 마스터&노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는 크게 마스터와 노드로 구성된다. 마스터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전반적인 것을 관리하고 노드는 Pod이나 ..
2019.11.26 -
Kubernetes - Kubernetes 용어설명
지금까지 쿠버네티스에 대한 포스팅을 여러개 했는데, 더 진행하기 앞서 쿠버네티스에서 사용하는 용어 및 개념들을 정리하면 좋을듯 해서 포스팅한다. 마스터&노드 쿠버네티스의 클러스터의 구조에서 전체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마스터 노드가 있고, 도커 컨테이너가 배포되는 노드가 존재한다. Pod Pod는 쿠버네티스에서 가장 기본적인 배포 단위로, 하나 이상의 도커 컨테이너의 묶음이다.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 단위로 배포하는 것이 아니라, Pod이라는 하나 이상의 도커 컨테이너로 이루어진 단위로 배포가 된다. 그렇다면 개별적인 컨테이너로 배포하지 않고, Pod이라는 단위로 배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Pod 내의 컨테이너는 IP와 Port를 공유한다. 즉, 서로 localhost로 통신이 가능한 것이다. Pod 내에 배..
2019.11.26 -
Kubernetes - Helm(헬름)이란? 주요개념,설치 , 사용법
보통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면 단일 클러스터 환경에서 운영하지 않는다. 보통 Phase 별로 클러스터를 구성하기도 하고, 각 Phase의 클러스터는 하나 이상의 노드를 갖는 클러스터 형태인 경우가 많다. 또한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혹은 미들웨어를 디플로이먼트나 서비스, 컨피그맵 혹은 인그레스 등 여러 종류의 리소스를 조합하는 형태로 배포한다. 그런데 각 Phase마다 배포시 달라지는 정보들이 많다. 예를 들면 개발환경의 데이터베이스 주소와 프로덕환경의 데이터베이스 주소가 다른것처럼 말이다. 그렇다면 모든 환경마다 매니페스트를 작성해야하나? 만약 Phase가 많다면 관리가 쉽지 않을 것이다. 이렇게 배포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설정값만 정의해 둔 다음 이에 따라 배포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하게 ..
2019.11.22 -
Kubernetes - 쿠버네티스 서비스,인그레스(Service,Ingress)
이전 포스팅에서 쿠버네티스란 무엇이고, 간단하게 팟,레플리카셋,디플로이먼트를 다루어보았다. 이번 시간은 이렇게 띄운 팟을 외부로 서비스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인그레스에 대해 다룰 것이다. 2019/11/19 - [인프라/Docker for mac] - Kubernetes - Kubernetes란? (클러스터,노드,파드(pod), 리플리카셋, 디플로이먼트) Kubernetes - Kubernetes란? (클러스터,노드,파드(pod), 리플리카셋, 디플로이먼트) 이번 포스팅은 kubernetes에 대해 다루어본다. 사실 쿠버네티스를 다루기 위해서는 docker(도커)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지만 여기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그렇다면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 쿠버네티스란? 쿠버네티.. coding-start.ti..
2019.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