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55)
-
Spring Cloud - Eureka Client 안전한 종료 방법(Discovery Client Shutdown, Spring boot graceful shutdown)
2019/02/24 - [Web/Spring Cloud] - Spring Cloud - Eureka를 이용한 마이크로서비스 동적등록&탐색&부하분산처리 Spring Cloud - Eureka를 이용한 마이크로서비스 동적등록&탐색&부하분산처리 Spring Cloud - Eureka를 이용한 마이크로서비스 동적등록&탐색&부하분산처리 스프링 클라우드 유레카는 넷플릭스 OSS에서 유래됐다. 자가 등록, 동적 탐색 및 부하 분산에 주로 사용되며, 부하 분산을 위해 내부.. coding-start.tistory.com 우리는 이전 포스팅들에서 Spring Cloud를 다루어보면서 동적인 서비스 등록과 서버사이드 로드밸런싱에 중대한 역할을 하게 되는 Eureka에 대해 다루어 봤었다. 이러한 유레카를 이용하여 우리는 ..
2019.08.25 -
Springboot - Bean Scope(싱글톤, 프로토타입) ?
스프링에서 빈을 생성할 때, 기본 전략은 모든 빈이 싱글톤으로 생성된다. 즉, 어디에서든지 빈을 주입받는 다면 동일한 빈을 주입받는 것을 보장한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빈 주입마다 새로운 빈을 생성해야할 필요가 있을 경우도 있다. 이럴 경우에는 빈 생성시 Scope를 prototype으로 주면 빈 주입마다 새로운 인스턴스가 생성되는 것을 보장한다. 하지만 프로토타입 빈을 사용할 경우 주의해야 할 상황이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Component public class ABean { @Autowired private BBean b; public void bMethod() { b.print(); } } @Component @Scop..
2019.08.17 -
Spring - Field vs Constructor vs Setter Injection 그리고 순환참조(Circular Reference)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필드,생성자,세터 의존주입에 대한 내용이다.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의존주입은 무엇인가? 혹은 우리가 평소에 사용하는 의존주입의 방식은 무엇인가? 한번 생각해보고 각각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Component public class ABean { @Autowired private BBean b; public void bMethod() { b.print(); } } cs 보통 위와 같이 필드에 의존주입할 빈을 선언하고 @Autowired를 붙여 빈 주입을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Component public class ABean { private BBean b; public ABean(BBean..
2019.08.17 -
IT책 - 스프링 퀵 스타트(채규태, 루비페이퍼)
필자가 처음 스프링을 공부하기 위해 구입했던 책은 토비의 스프링이었다. 하지만 초급자에게 토비의 스프링을 완독하기란 쉽지 않을 일이였기에, 간단하게 스프링을 공부하기 위해 책을 찾던중 스프링 퀵 스타트라는 책을 알게되었다. 이 책은 스프링을 잘 모르고 처음 공부하는 사람에게 아주 좋은 책인 것 같다. 너무 깊지도 얕지도 않은 많이 사용하는 기술들을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는 책이다.
2019.08.11 -
Springboot - DB Datasource 암호화/복호화(application.properties)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어볼 내용은 spring boot project에서 DB Access관련 설정을 application.properties에 설정 해 놓는데, 기존처럼 평문으로 username/password를 넣는 것이 아니라 특정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된 문자열을 넣고 애플리케이션 스타트업 시점에 복호화하여 DB Access를 하는 것입니다. 바로 예제로 들어가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2019.08.05 -
Spring - RestTemplate Connection Pooling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Spring의 RestTemplate입니다. 우선 RestTemplate란 Spring 3.0부터 지원하는 Back End 단에서 Http 통신에 유용하게 쓰이는 템플릿 객체이며, 복잡한 HttpClient 사용을 한번 추상화하여 Http 통신사용을 단순화한 객체입니다. 즉, HttpClient의 사용에 있어 기계적이고 반복적인 코드들을 한번 랩핑해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또한 json,xml 포멧의 데이터를 RestTemplate이 직접 객체에 컨버팅해주기도 합니다. 이렇게 사용하기 편한 RestTemplate에서도 하나 짚고 넘어가야할 점이 있습니다. RestTemplate 같은 경우에는 Connection Pooling을 직접적으로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매번 Res..
2019.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