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63)
-
Jenkins - Jenkins&GitHub을 이용하여 아주 간단한 MultiBranch pipeline 만들어보기
이전 포스팅에 이어 Jenkins&GitHub을 이용한 CI 실습을 다루어볼 것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본격적으로 실습을 진행하기 전에 아주 간단한 echo를 찍어주는 pipeline 하나를 만들어 볼 것이다. 사실 이것을 설명하는 이유는 멀티브랜치 파이프라인에 대해 조금 이해해보기 위함이다. 1. Multibranch Pipeline 생성 사실 우리가 개발할때, 버전관리 시스템에서 브랜치를 하나만 사용하여 개발하지 않는다. 각 회사마다의 브랜치 전략이 있겠지만 가장 대중적인 브랜치 전략은 아래와 같다. Feature branch Integration branch Master branch(production branch) 이렇게 여러개의 브랜치를 가지고 개발을 진행하고 이러한 멀티 브랜치 전략에 대해 J..
2020.03.21 -
Jenkins - CentOS에 docker 환경으로 Jenkins 설치(Jenkins&GitHub CI)
오늘 다루어볼 내용은 CI의 핵심 젠킨스(Jenkins)를 다루어볼 것이다. 사실 이번 포스팅을 시작으로 젠킨스(Jenkins) 관련 몇개의 포스팅이 더 있을 듯하다. 오늘은 간단히 CentOS환경에 docker로 Jenkins를 설치해볼 것이다. 바로 예제로 넘어간다. 필자는 미리 CentOS VM을 준비하였다.(사실 회사에서 장비를 맘껏 받아쓸 수 있어서 ㅎㅎ 실습용으로 생성했다.) 이번 포스팅은 CentOS가 준비되어 있다라는 가정이다. 1. CentOS에 Docker Engine 설치 첫번째로 Docker Engine을 설치해보자. > sudo yum -y update > sudo yum -y install docker docker-registry > sudo systemctl start dock..
2020.03.21 -
Springboot - Spring webflux handler test(웹플럭스 핸들러 테스트), WebTestClient
이전 시간에 DB관련 테스트 작성하는 법을 다루어 봤는데, 이번 시간에는 Webflux handler 테스트 코드를 한번 작성해보려고 한다. 이전까지는 service 단까지만 테스트를 모듈별로 작성하였지만, 핸들러로 인입하여 한번에 모든 로직을 돌려보는 테스트는 직접 넣어보지 않았던 것 같다.(사실 핸들러, 컨트롤러 테스트가 이것저것 설정해야할 것들이 많아서..) 간단히 바로 예제를 다루어본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Configuration public class RouteConfig { @Bean public RouterFunction routeFunction(TestHandler t..
2020.03.20 -
Springboot - @CacheEvict 사용시 주의점, Spring cache(@Cacheable,@CacheEvict)
오늘 다루어볼 내용은 spring cache를 이용할때, 쉽게 놓쳐 실수 할 수 있는 @CacheEvict이다. @CacheEvict는 캐시 되어 있는 내용을 refresh, 정확히는 삭제하는 어노테이션인데 명시적으로 캐시 키값을 명시해주지 않으면 발생할 수 있는 실수 있다. 바로 예제를 살펴본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package com.example.cache;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
2020.03.03 -
Springboot - junit을 이용한 DB관련 테스트 작성하는 방법, embedded mongo를 이용한 테스트
오늘 다루어볼 내용은 테스트 코드에서 DB관련된 테스트를 작성하는 방법이다. 사실 지금까지 여러가지 유닛테스트를 짜면서 로직에 대한 검증을 하긴 했지만,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테스트 작성은 조금 꺼려하기는 했다. 이유는 여러가지이지만, 귀찮은 설정들이 필요하고 사실 외부 환경에 따라 테스트가 실패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계속 미룰수는 없는 법.. 오늘은 간단하게 데이터베이스관련 된 테스트를 Junit으로 만들어볼 것이다. 환경 springboot mongodb junit 다루어볼 예제는 정말 간단한 User 객체에 대한 생성,수정,조회 등을 테스트해볼 것이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2020.03.01 -
Kubernetes - Kubernetes 로깅 운영(logging), Fluentd
오늘 다루어볼 내용은 쿠버네티스 환경에서의 로깅운영 방법이다. 지금까지는 쿠버네티스에 어떻게 팟을 띄우는지에 대해 집중했다면 오늘 포스팅 내용은 운영단계의 내용이 될 것 같다. 사실 어떻게 보면 가장 중요한 내용중에 하나라고 볼 수 있는 것이 로깅이다. 물리머신에 웹을 띄울 때는 파일로 로그를 날짜별로 남기고, 누적 일수이상된 파일은 제거 혹은 다른 곳으로 파일을 옮기는 등의 작업을 했을 것이다. 하지만 쿠버네티스에서는 파일로 로그를 남기지 않으며 조금 다른 방법으로 로깅운영을 진행한다. 컨테이너 환경에서 로그를 운영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컨테이너 환경에서 로그가 어떻게 생성되는지 알아본다. 비컨테이너 환경의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보통 로그를 파일로 많이 남기고 한다. 이에 비해 도커에서는 로그..
2020.02.24